사막에 모래가 많아도 바람이 없으면 먼지 발생이 없으며, 토사를 방진덮게로 씌어도 강우 및 틈이 있으면 효과가 낮음
공사장은 토사 야적/해체가 빈번하며, 방진덮개를 설치해도 틈이 발생되면 먼지가 많아 일시 지도점검으로 관리가 곤란함
- 물살수 : 지속시간 2시간 + 과다인력
- 방진덮개 복포 : 과다 인력 + 고 비용 + 바로 조치 곤란
- 지도점검 : 일시적 효과
기존 물 살수 비산먼지 저감 조치에 대한 한계성 | 기존 방진덮개 및 천막 복포시 한계성 및 문제점 |
---|---|
하절기 고온증발로 1일 4회 살수를 해도 먼지 발생이 많음 잦은 살수차량운행으로 에너지, 온실가스 및 미세먼지 증가 동절기 도로 살수시 결빙으로 낙상 등 안전 및 교통사고 발생 살수차 인력 인건비 및 살수차 임대 등 비용 증가 |
방진덮개 설치 및 해체 작업중 먼지 발생이 많음 분체상 물질 야적시 바로 방진덮개 설치가 어려움 방진덮개 고정이 쉽지 않아 느슨해져서 바람이 불 경우 재비산됨 방진덮개 및 천막 등은 햇볕에 노화되고 폐기물 발생 및 수거 필요 물질 야적시 다짐작업이 없어 빠지기 쉬워 추락재해 안전사고 위험 방진덮개 설치 및 해체시 작업시간이 많아 인건비 부담이 큼 방진덮개 및 천막 구매, 인건비 및 폐기물 처리비 등 경제성이 낮음 |
야적물질 표면 경화제는 물에 쉽게 용해 되고 희석액의 농도는 야적물질이 상태 및 보관 기간 등을 고려 한다
모래 등 입자가 작고 보관기간 4개월 정도로 길 경우는 1/10~20으로 진하게 희석, 일반 토사는 1/50 농도로 희석
살포면적이 작을 경우에는 물탱크에 1차로 희석하여 사용하고, 살포면적이 넓을 경우에는 살수건이 달린 살수차를
사용하므로 비포장도로 먼지억제제와 같이 1차로 탱크에 1/(5~10) 희석후 2차로 1/(10~50) 농도로 희석한다.
교반기 적용사례 | 고압살수기 교반사례 |
---|---|
![]() |
![]() |
물을 채운 물탱크 주입구에 교반기와 거치대를 고정시킬 것 경화제를 부으면서 교반기로 약품이 뭉치지 않도록 교반 실시 |
교반기가 없을 경우, 고압살수기로 희석액을 내부순환시켜 교반 실시 |
※ 약품 희석시 안전 주의사항
근로자가 물탱크 위에 올라가 작업하지 말 것(고소작업 절대 금지) 교반 시작 전, 교반기를 거치대에 확실히 고정시킨 후 전원 스위치를 켤 것. 교반 종료 후, 반드시 전원 스위치를 끈 후 교반기와 거치대를 분리할 것
소규모 살포 | 대규모 살포 |
---|---|
![]() |
![]() |
희석액 물탱크를 1톤 트럭에 실거나 지게차를 |
희석액을 살수차에 옮겨실은 뒤, 살수차의 물대포로 살포 |
※ 유의사항
살포액의 농도는 야적물질의 상황을 고려 1/20 ~1/50 정도로 하여 입자가 가늘고 야적 기간이 길면 희석비를 진하게 하며, 보통의 경우에는 1/50 정도로 한다. 야적물질이 건조할 경우에는 물로 약간 초벌 살수 후 표면경화제를 살포하고, 또 약품 살포 후 폭우 및 고온으로 살포 후 면적이 갈라질 경우에는 약품 희석 농도를 초기보다 연하게 하여 갈라진 부분에 살포 한다 또 강우 등으로 살포 장소가 지나치게 축축한 날에는 다음 날로 미루어 살포 한다. 살포시간은 억제제가 도로에 충분히 스며들 시간(3~4hr) 확보가 용이한 오후 작업종료 전 또는 덤프 등 차량 운행이 비교적 한산한 시간을 정해 살포 후 부지에 잘 스며들도록 한다 경화제는 1회 살포로 약 4개월간 먼지억제 효과를 유지 할 수 있으며 살포방법은 가급적 멀리 살포하여 약품이 천천히 잘 스며들도록 하며, 바닥에 직사 살포시에는 리바운딩되어 잘 흡수가 되지 않으니 주의 한다. 살포량은 희석액 1톤으로 야적물질 표면적 2,000m 을 약품 성분이 충분히 적셔져 흥건하게 보이도록 살포한다. (경화제 약품 20ℓ로 살포 가능한 적정 면적은 2,000m ) 약품은 점성이 있어 고압살수기 또는 살수차 노즐이 막힐 수 있으므로 살포 후 장비를 물로 세척한다
야적물질 표면경화제 효과 비교(3,000㎡ 야적토사 기준)
구분 | (기존)방진덮개 설치 | (신기술)표면경화제 살포 | 비고 |
---|---|---|---|
방진덮개를 인력이 직접 설치 및 수거
![]() |
경화제를 물과 배합하여 살수(분무)기로 살포
![]() |
||
45.7 ug/Sm3 | 33.5 ug/Sm3 | ||
방진덮개 사용 후 폐기물 처리 | 폐기물 발생이 없음 | ||
2명 약 8시간(설치 4hr, 해체 4hr) ※ 방진막 해체/수거시에도 추가시간 필요 |
작업자 1명 1.5시간(배합 0.5hr, 도포 1hr) ※ 별도의 해체/수거 작업 불필요 |
||
합계 109만원 소요 -설치/철거 인건비 : 2명 X 8시간=24만원 -재료비 : 방진막 3,000㎡ = 84만원 -철거시 폐기물처리비 : 약 1만원 |
합계 33만원 소요 - 인건비 : 작업자 1명 X 1.5시간= 3만원 - 재료비 : 3,000㎡에 경화제 30kg = 30만원 * 당현장 토사 배합비(물:경화제)인 50:1 기준 |
||
방진덮개의 잦은 변경설치, 해체 시 대응이 어렵고, 인건비 향상 및 해체시 폐기물이 발생 |
공사중 토사이동이 잦아 고압살수기를 통해 쉽고 빠르게 작업이 가능하며 추가 해체/수거 작업 불필요 |
구분 | 사진 | PM10 측정결과(μg/Sm3) |
---|---|---|
표면 경화제 |
![]() |
33.5μg/Sm3 겉표면이 모두 코팅되어 외부로 먼지 발생이 없음 |
타포린 덮개 |
![]() |
45.7μg/Sm3 타포린 천막 조직의 작은 틈새로 먼지 발생 |
구분 | 사진 | PM10 측정결과(μg/Sm3) |
---|---|---|
그늘망 덮개 |
![]() |
75.8μg/Sm3 그늘망 조직의 작은 틈새로 먼지발생 |
방진망 덮개 |
![]() |
85.8μg/Sm3 방진망 중첩부분 및 방진망 틈에서 먼지 발생 |
미조치 |
![]() |
측정불가 바람에 따라 다량의 먼지 발생으로 측정범위 초과 |
표면경화제 살포 후 PM 10 농도가 33.5μg/Sm 이므로, 타포린, 그늘막, 방진망 등 방진덮개에 비하여 미세먼지 저감효과가 가장 우수함.